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가 서울 유적지를 가톨릭 순교지로 안내하는 1000여 개의 ‘바닥안내사인’ 등에 관해 “문화적으로 용인되는 수준”이라는 답변을 내놨다. 특히 문체부 내부에서 가톨릭 공공역사 독점화 우려가 제기됐음에도 가톨릭 순례길 안내판 등을 시정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이 같은 문체부의 입장은 역사적인 장소마다 종교 기념물이 우후죽순 생겨날 수 있는 근거가 된다는 점에서 공공성 기준을 상실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조계종 종교평화위원회(위원장 향문 스님)는 지난해 11월 “서울시(시장 오세훈)의 가톨릭 ‘서울 순례길’이 명백한 종교편향에 해당한다”며 문체부 공직자종교차별신고예방센터에 신고한 바 있다. 신고 대상은 △광화문 한국 천주교 순교자 124위 시복터 △서울도보관광 바닥안내사인 △천주교 서울 순례길 안내판 등이다.
그러나 문체부는 종평위의 문제 지적에 대해 5개월여 만에 회신하며 광화문 광장의 ‘한국천주교순교자 124위 시복터 및 가톨릭 순교지’를 서울 순례길로 안내하는 바닥 사인이 “종교편향이 아니”라고 판결했다.
회신문에 따르면 '광화문 시복터 표지석'의 경우 역사·관광 콘텐츠 개발이라는 지자체의 설치 목적에 부합하고, ‘열린광장운영시민위원회’ 심의 절차를 거쳤다는 이유다. 또 ‘순례길 바닥 안내사인’의 경우 천주교의 종교적 상징이 아닌 일반화된 표식을 개발해 사용했고, 외래관광객의 보행 편의를 위해 설치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문화적으로 용인되는 수준”이라는 판단이다. 이에 문체부는 서울순례길 관련 설치물이 “특정 종교에 편향된 것으로 보기는 어려움”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문체부의 이 같은 결정은 “종교 편향 문제를 넘어 공공역사를 왜곡하는 심각한 사안”이라는 전문가들의 지적과도 배치된다. 광화문 광장 입구에 설치된 ‘124위 시복터’ 바닥돌은 2014년 프란치스코 가톨릭 교황이 모범 가톨릭 신앙인을 인정한 행사를 기념해 설치된, 광화문 광장의 유일한 종교 설치물이다. 이는 가톨릭 교황의 시복식이 마치 조선 왕조 오백년 역사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듯한 인상을 준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지적이다.
2022년 8월 본지 보도 당시 조성택 고려대 명예교수는 “우리가 딛고 서 있는 땅은 여러 역사가 중첩돼 온 것인데 하나의 표층만 가지고 역사를 서술한다는 것은 자체가 매우 심각한 문제”라며 “서울시가 국사편찬위원회나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등에 충분히 자문받았는지 궁금하다. 개인의 신앙에는 자유가 있을지라도 신앙이 공적인 영역에서 표현될 때는 공공성이 우선 돼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문체부는 특히 조선시대 주요 유적지를 가톨릭 성지로 안내하고 있는 서울순례길 ‘분홍색 하트 매듭’ 표식에 관해 “천주교 종교적 상징이 아닌 일반화된 표식을 개발, 사용했다”고 해명해 가톨릭 측의 입장을 대변하는 모양새를 보였다.
하지만 해당 표식은 가톨릭계에서 조선시대 박해받은 신자를 상징하는 포승줄로, 현재까지도 ‘한국천주교회 순교자현양위원회’의 공식 마크로 사용되고 있다. 또 “천주교 상징이 아니”라는 문체부 해명과 달리 이 표식이 가톨릭의 상징성을 띠고 있음은 2017년 9월 서울시 관광체육국이 작성한 ‘서울 속 순례길 관광 활성화 종합계획’(순례길 종합계획)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서울시는 당시 천주교서울대교구에 “가톨릭 의미를 함축하면서도 타종교 거부감이 없는 방향으로 B.I를 개발해보라”며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바 있다. 가톨릭의 정체성을 담되 타종교인들이 알 수 없도록 디자인하라고 제안한 서울시의 시도를, 문체부가 이번 결정으로 허용한 셈이다.
그러나 공공의 역사가 가톨릭 역사로 흡수·왜곡되는 흐름에 대한 우려는 문체부 내부에서도 제기된 것으로 파악된다. 문체부는 회신문에서 “다만 ‘순례길 안내판’의 경우 서술 내용 및 (안내간판)설치 규모 등을 감안할 때 일부의 가톨릭 안내판은 과거 정부기관(관청)의 표석에 대한 상세 설명이라고 오해할 수 있어 다소 편향된 정보 제공의 우려가 있으므로, 향후 역사학계 자문 등을 통해 해당 장소가 갖는 역사성에 대해서도 균형 있게 서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위원회 논의 과정에서 상기 종교편향 신고와 관련하여 특정 종교의 공공장소 역사 독점화 현상이 다소 우려되며, 종교 간 갈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일부 의견이 있었다”고 덧붙였다.
‘편향된 정보의 제공’과 ‘종교간 갈등’에 대한 지적이 있음에도 “문화적으로 용인되는 수준”이라는 회신문을 보낸 문체부에 대해 불교계에서는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조계종 중앙종회 종교편향특별위원장 선광 스님은 6월 4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불교가 전래한 삼국시대 이래 역사는 차치하더라도, 조선시대 오백년 전 국토에 스님과 불자들 피눈물이 스미지 않은 곳이 없다. 불교가 핍박받았다고 해서 가톨릭처럼 전국 방방곡곡을 성지화하겠다고 하면 어떤 일이 벌어지겠는가”라고 반문하며 “가톨릭계의 역사 선양 시도가 적정선을 넘어 민족 역사 전반을 왜곡시키는 ‘가톨릭 역사공정’이나 다를 바 없는 상황을 문체부가 ‘문화적 용인’이라며 감싸고 있는 참담한 모습”이라고 지적했다. 선광 스님은 “반박 공문 발송은 물론, 올바른 시정이 이뤄질 때까지 문제제기를 이어가겠다”고 강경 대응을 예고했다.
정주연 기자 jeongjy@beopbo.com